공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과 인테리어, 그리고 목재 관련된 기초 용어들을 알아야 됩니다.
건축이나 인테리어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이 바로 용어입니다. 전문가들은 아무렇지 않게 쓰는 말이지만, 일반인에게는 처음 듣는 많이 생소한 단어들이 많습니다. 이 글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건축 용어, 인테리어 용어, 그리고 목재에 대해서 정리한 글입니다. 건축에 대한 관심을 시작한 사람에게 기초 지식이 될 것이며, 인테리어를 직접 하거나 시공 현장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어렵겠지만 자주 접하게 되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건축 용어
건축은 공간을 설계하고, 구조를 세우고, 기능을 담는 일입니다. 많은 과정이 필요한 만큼 건축에 쓰이는 용어도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자주 쓰이면서 기초 개념에 해당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건축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알아두면 좋은 대표적인 건축 용어입니다.
① 평면도 / 입면도 / 단면도
건축설계도에서 가장 기본적인 도면입니다.
평면도는 건물의 위에서 본모습을 나타냅니다. 보통 1층, 2층, 3층 등 각 층을 수평으로 잘라서 위에서 내려다보는 개념입니다.
입면도는 건물을 옆이나 앞에서 본모습을 말합니다. 주로 건물의 외관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단면도는 건물을 수직으로 잘라서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각 층의 높이, 천장과 바닥 사이의 구조 등을 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② 기초 / 골조 / 마감
건축 공정의 큰 틀을 이루는 단계입니다.
기초는 건물을 땅에 고정하는 가장 아래 구조입니다. 땅속에 묻혀 보이지 않지만 하중을 견뎌야 되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조는 건물의 뼈대를 말합니다. 콘크리트, 철근, 철골 등으로 구성되며 전체 구조의 형태를 좌우합니다.
마감은 건물의 외관이나 내부 공간의 마무리 작업입니다. 외관은 합판, 사이딩 등이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합판, 석고보드, 벽지, 페인트, 바닥재, 몰딩 등이 포함됩니다.
③ 연면적 / 건축면적 / 건폐율 / 용적률
부동산과도 관련된 개념으로 법적 제한과 직결됩니다.
연면적은 건물 전체 바닥 면적의 합입니다.
건축면적은 건물이 지면과 닿는 부분의 면적, 즉 1층의 면적입니다.
건폐율은 건축면적이 대지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아파트에서 건폐율이 높으면 건물이 대지를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다. 반대로 건폐율이 낮으면 여유롭고 쾌척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용적률은 연면적이 대지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건물의 높이와 층수 제한에 영향을 줍니다.
이 외에도 슬래브(콘크리트 바닥 구조), 벽체, 내력벽, 비내력벽, 기둥, 보 등 구조적 요소에 대한 이해도 중요합니다. 이 용어들을 이해하면 도면을 해석할 수 있게 되고, 건축공사 현장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2. 인테리어 용어
인테리어는 단순히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공간의 용도와 분위기를 고려하여 기능적으로 설계하는 작업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테리어 용어들은 실내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 꼭 필요합니다.
① 도장 / 도배 / 타일링
도장은 페인트를 칠하는 작업입니다. 내벽, 천장, 외벽 등에 따라 사용하는 페인트 종류가 달라집니다.
거주공간인 실내에는 친환경페인트를 사용해야 되며, 외벽에는 방수가능이 높은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감한 자재에 따라 용도에 맞는 시멘트용, 목재용 등 페인트를 사용해야 됩니다.
도배는 벽지 작업을 말합니다. 실내 분위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색상과 질감(합지, 실크 등) 선택이 중요합니다.
타일링은 타일을 붙이는 작업입니다. 주방, 욕실, 발코니 등에 주로 사용되며 방수성과 내구성이 중요합니다. 색상, 질감, 크기 등이 다양하게 있습니다.
② 몰딩 / 걸레받이 / 천장재
몰딩은 벽과 천장의 경계나 바닥과 벽의 경계에 설치하는 장식 요소입니다. 공간에 입체감을 주고 마감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걸레받이는 바닥과 벽 사이에 설치하여 청소 시 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인테리어 콘셉트에 따라 생략되기도 합니다.
천장재는 천장을 구성하는 마감재입니다. 석고보드, 텍스, 루바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방음과 단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③ 파티션(가벽) / 조명 / 가구 배치
파티션은 공간을 분리하는 임시 가벽입니다. 사무실, 카페 등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데 사용됩니다.
조명은 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합니다. 기본 조명, 간접 조명, 포인트 조명 등으로 나뉘며, 색온도에 따라 공간의 따뜻함이 달라집니다.
가구 배치는 사용자의 동선과 시각적인 안정감을 고려해야 합니다. 실제 생활의 편의성과 인테리어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요소입니다.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등으로 미리 대력적인 가구 배치를 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테리어 용어들을 알고 나면 단순히 예쁜 공간이 아닌, 의도된 공간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초보자도 인테리어 시공업체와의 소통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3. 재료의 기본인 건축 목재 용어
목재는 건축과 인테리어 모두에서 중요한 재료입니다. 다양한 종류와 가공 방식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므로, 건축 목재 용어에 대해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① 원목 / 집성목 / 합판 / MDF
원목은 나무 그대로를 절단한 자연목과 제재후 대패한 기성재가 있습니다.
내구성이 좋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내며 내장, 외장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나 수종의 특성을 고려해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성목은 여러 개의 나무를 붙여 만든 목재입니다. 강도가 높고 변형이 적어 가구나 실내사용으로 사용됩니다.
외부 사용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합판은 얇은 나무를 겹겹이 붙여 만든 판재입니다. 용도에 따라 가벽, 가구, 마감용, 건축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MDF는 나무 섬유를 압축하여 만든 판재로, 표면이 매끈해 도장이나 필름 마감에 적합하며 습기에 약해서 실내 사용만 가능합니다.
② 루바 / 몰딩재 / 데크재 / 집성재
루바는 나무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해 통풍이나 채광을 도와주는 구조입니다. 벽면, 천장 마감에 인테리어 목재로 사용됩니다.
몰딩재는 벽과 천장 또는 가구 마감 등에 쓰이는 장식재입니다. 목재 외에도 PVC나 MDF 소재로 필름으로 마감된 제품이 많이 사용됩니다.
데크재는 주로 야외 바닥재로 사용되는 목재로, 내구성과 방수성이 중요합니다. 방수성을 향상을 위해 도장은 꼭 필요합니다.
집성재는 중에서 구조용으로 쓰이는 고가의 중목구조 집성목은 장기간 형태 유지가 가능해 목조주택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집성목은 다양한 수종과 규격으로 실내 가구, 인테리어 목재 위주로 사용됩니다.
목재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면, 원하는 공간에 맞는 자재를 선택할 수 있고, 시공 후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종류에 따라 수축, 팽창, 휘어짐 같은 천연재료의 특성을 잘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